오늘은 영수의 10번째 생일이다.
부모님은 영수에게 최신 유행 장난감을 사줬다.
“우리 영수, 장난감 생겼으니까
공부 열심히 해야 돼.”
유대인 가정의 루크도 10번째 생일을 맞았다.
루크의 부모님은 루크에게 장난감을 사주지 않았다.
대신, 장난감 회사의 주식을 사주었다.
이 장면을 영수의 부모님이 봤다면,
이렇게 말했을 것이다.
“아니, 주식은 도박이나 다름 없는데,
아이에게 주식을 가르치다니!”
주식을 선물 받은 루크에게는 무슨 일이 일어날까?
루크는 그 장난감 회사에 관심을 갖게 된다.
회사와 관련된 뉴스도 관심있게 보기 시작한다.
몇 년 후, 수익이 늘어난 것을 보고 기뻐한다.
그렇게 자본 소득의 의미를 깨닫는다.
루크의 부모님이 루크에게 주식을 사준 것은
어릴 때부터 ‘자본이 일하게 하는 방법’을
깨닫게 하려는 큰 그림인 것이다.
이상하게도, 한국 부모들은 돈을 멀리하라고 가르친다.
돈 많은 놀부는 미워하고 자식 굶기는 흥부는 미화한다.
돈 이야기를 하는 것은 격이 떨어진다고 생각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을 외면하라고 가르치는 것이다.
그저 공부 열심히 해서 좋은 직장에 들어가면
자식의 성공이 보장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좋은 회사에 취직하여 유능한 사원이 되는 것은
부자가 되는 것과 전혀 관련이 없다.
자본주의에서 부를 쌓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노동을 통한 것,
둘째는 자본을 통한 것이다.
노동으로 돈을 벌어서는 부자가 되기 힘들다.
자본주의에서는 ‘자본가’만이 부자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자본가'란 돈을 벌 수 있는 수단(=기업)을 소유한 사람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쉽게 창업을 하지 못한다.
이때, 평범한 사람이 자본가가 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바로 주식 투자이다.
주식을 산다는 것은 회사의 지분을 취득하는 것이다.
직접 창업을 하지 않고도
자본을 가질 수 있다는 말이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주식 투자를 도박처럼 여긴다.
주식 투자를 해서 돈을 잃은 사람이 많아서
주식에 대해 강한 반감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 투자가 아니라 투기를 하기 때문이다.
우리 주식 시장에서는 기업의 가치를 찾으려는 노력보다
주가만 보고 단기간 매매하는 행태가 훨씬 많다.
주식을 할 때는 세 가지 원칙만 지키면 된다.
① 여유자금으로 한다.
여유자금은 오늘 아낀 돈이다.
택시 한 번 덜 타고 커피 한 잔 덜 마셔도
충분한 투자금이 될 수 있다.
명심할 것은 절대 빚 내서 투자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빚을 내면 오래 보유할 수 없다.
당장 없어도 문제 없는 자금으로 투자해야 한다.
② 분산투자 한다.
모든 투자에는 위험이 따른다.
주식 투자에서 위험을 완화시켜주는 장치는 ‘분산’이다.
15~20종목에 골고루 투자해야 한다.
종목뿐 아니라, 시간도 분산해야 한다.
주가와 상관없이, 정해진 시기에
정해진 금액만큼 매수한다는 규칙을 지키자.
③ 장기 보유한다.
주가는 복리로 움직인다.
만 원짜리 주식을 샀는데, 10%가 올랐다면
다음 날 기준가는 10,000원이 아니라 11,000원이다.
즉, 수익이 계속해서 재투자된다는 뜻이다.
주식투자를 통해 복리의 마법을 누리려면
가능한 한 장기로 투자해야 한다.
좋은 주식은 짧은 기간에는 손해를 보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오르게 되어 있다.
이것은 자본주의의 원리다.
삼성전자, SK텔레콤, 삼성화재, 아모레퍼시픽 등은
과거 10~20년 동안 10~200배 오른 주식들이다.
그 열매를 향유할 수 있는 건 장기투자자들뿐이다.
이제는 자녀를 월급쟁이가 아니라
돈을 잘 알고 부를 축적할 줄 아는 자본가로 키우자.
부모 자신부터 자본가의 마인드를 갖자.
돈을 쓰는 즐거움이 아닌,
자본으로 이익을 창출하는 즐거움을 알게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주식 투자이다.
참고 도서 : 『엄마, 주식 사주세요』, 존 리
'책 소개를 합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 매출 1조 사업가가 하루 100번 반복한 말 (0) | 2020.05.31 |
---|---|
히틀러를 실제로 본 사람들이 한 말 (0) | 2020.05.30 |
진짜 친구 가려내는 가장 간단한 방법 (0) | 2020.05.29 |
매번 화내고 자책하는 사람들의 약점 (0) | 2020.05.28 |
스마트폰이 울릴 때마다 뇌에서 생기는 일 (1) | 2020.05.28 |